국가기술자격증

전기기사

미노스23 2024. 7. 3. 16:16

전기기사( Engineer Electricity)

전기는 살아가는데 꼭 필요합니다. 어두워 지면 불을 켠다거나, 밥을 하고, 요즘 같이 추운날 난방장치를 가동하게 하는 에너지 원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전기를 소홀하게 다루게 된다면 자칫 큰 사고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유지 ·보수에 관한 전문 자격 제도를 실시하여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이고자 전기기사의 자격제도를 제정 하였습니다.

전기기사의 취득자격 조건은 4년제 대학의 전기공학과, 전기제어공학과, 전기전자공학 등 관련학과를 졸업해야하지만 저같은 경우는 정보처리 기사를 취득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다른 종목 산업기사 등급이상 취득자 의 조건을 이용하여 전기기사에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전기기사 필기 시험

전기기사 필기 시험의 출제기준에 따른 직무내용은 전기 설비에 관한 이론을 기반으로 전기기계 ·기구의 선정, 전기설비의 계획, 에너지 절약기술 적용, 용량산정, 재료선정 등 설계도서 작성, 감리, 유지관리 및 운용 등 시설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라고 합니다.

시험은 객관식 100문제로 시험시간은 2시간 30분이 주어집니다. 5과목으로 과목당 20문제씩 출제 되는데 100점 만점중 평균 60점이상이어야 합격이 가능합니다.  평균 60점이라는 내용이 있듯이 과목당 과락 점수인 40점 이상 득점을 해야합니다. 즉, 과목당 최소 8문제 이상 득점 하여 100문제 중 60문제 이상 맞춰야 합격이 가능합니다. 

필기시험의 출제기준을 보면

1과목 - 전기자기학(20문제)

 : 진공 중의 정전계, 진공 중의 도체계,  유전체, 전계의 특수 해법 및 전류, 자계, 자성체와 자기회로,

   전자유도 및 인덕턴스, 전자계

 

2과목 - 전력공학(20문제)

 : 발·변전 일반, 송 ·배전선로의 전기적 특성, 송 ·배전방식과 그 설비 및 운용, 계통보호방식 및 설비, 옥내배선,

   배전반 및 제어기기의 종류와 특성, 개폐기류의 종류과 특성

 

3과목 - 전기기기(20문제)

 : 직류기, 동기기, 전력변환기, 변압기, 유도전동기, 교류정류자기, 제어용 기기 및 보호기기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20문제)

 : 회로이론, 제어공학

 

5과목 - 전기설비 기술기준(20문제)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한국전기설비규정, 총칙, 저압전기설비, 고압·특고압전기설비, 전기철도설비, 분산형 전원설비

이렇게 출제기준이 나와있습니다. 

고등학교때 관심있게 공부했던 과목이 물리 였는데 이렇게 과목만 봤을 뿐인데 범접할 수 없을것 같은 기분이 드네요.

 전기기사 필기 시험 검정 수수료는 19,400원으로 정보처리 기사의 검정 수수료와 같네요.

전기기사 실기 시험

전기기사 실기 시험의 수행 준거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한국 산업인력 공단은 이러한 수행준거에 기반 하여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의 과목명에 따른 출제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하였습니다.

주요항목에는 전기계획, 전기설계, 자동제어운용, 전기설비 운용, 전기설비 유지관리, 감리업무 수행계획, 감리 여건제반조사, 감리 행정업무, 전기설비감리 안전관리, 전기설비감리 기성준공관리, 전기설비 설계감리 업무로 나누어 세부·세세항목으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2023년 전기기사의 필기 합격률은 약 22%였고, 실기 합격률은 약 39%였습니다. 합격률이 높은것처럼 보이지만. 

작년 전기기사 응시자수가 전년도의 3분의 2 수준으로 낮아진 영향도 있습니다. 응시자수를 제하면 합격자수는 거의 비슷하게 합격한걸로 보여집니다. 

 

 저도 전기기사에 도전해 보려고 여러곳을 알아보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독학은 어려울것 같아서 인터넷 강의를 찾아보고 있는데요 동차에 합격하신 분들도 있다는 광고글이 있어서 열심히 하면 가능한가보구나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K-직장인에 집에 20개월 아기도 있어서 공부시간이 턱없이 부족하여 1년정도 목표로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공부를 시작하게 된다면 이곳에 공부스토리도 같이 올려볼 생각합니다. 이렇게 공식적으로 선전포고를 하면 그나마 조금씩이라도 공부할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우선 질러 봤습니다.

 2025년 전기기사 시험을 준비하시는 저를 포함한 모든 분들!! 열심히 공부해서 꼭 1년에 1개씩이라도 자격증 취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같이 화이팅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