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 기능사
유기농업기능사( Craftsman Organic Agriculture)
최근 환경오염이 심해지는 가운데 유기농업의 중요성 및 수요가 증대되고 있습니다. 과거 부가가치가 낮은 농작물에서 높은 부가가치가 가능 한 농작물로 전환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부가가치가 높은 작물생산의 한 방안으로 최근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유기농업이란 화학비료, 유기합성농약(농약, 생장조절제, 제초제 등), 가축사료첨가제 등 일체의 합성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과 자연광석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재만을 사용하는 농법을 말합니다. 이러한 유기농업은 단순히 자연보호 및 농가 소득 증대라는 소극적인 중요성을 넘어서 WTO에 대응하여 자국농업을 보호하는 수단이 되며, 아울러 국민의 보건복지 증진이라는 의미에서도 매우 중요하니다. 이러한 유기농업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전문 유기농업인력을 육성·공급할 수 있는 자격을 2005년 신설하게 됐습니다.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유기농업기능사의 직무내용은 유기농업분야에 대한 윤작체계, 자재선정, 토양특성 병해충관리, 사료 확보 등 생산 관련업무, 유기식품 등과 유기농업자재 등의 가공, 포장, 제조, 취급 및 인증 등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출제기준을 살펴보면 작물재배, 토양관리, 유기농업 일반 이렇게 3과목으로 문제수는 60문제가 출제가 됩니다.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이 합격점수로 36문제 이상 득점시 필기시험을 합격하여 실기를 응시하실 수 있습니다. 시험시간은 1시간이 주어집니다.
필시험은 CBT로 시행되기 때문에 한 시험장소에 입실 가능한 인원도 적고 각자리마다 PC가 설치되어있는 곳에서 PC로 시험이 시행되기 때문에 지필식 필기시험보다는 일정이 많이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듯이 입실 가능한 인원이 한정적이고 PC도 부족하기 때문에 접수가 치열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정 잘 확인하셔서 원하는 시간에 접수 성공 하시길 바랍니다.
유기농업기능사 실기
유기농업기능사의 실기시험은 2020년도 까지는 작업형으로 정말 실기시험으로 치러졌습니다. 저도 농업고등학교에 가서 시험을 봤던 기억이 있는데요. 그때 준비했던 내용이 밭이랑 만들기, 씨앗 심기, 비커에 용액 따르기(?) 등 여러 가지를 대비했었는데 그때 준비했던 교재를 결혼 후 이사하면서 버린 것 같아 아쉽네요. 한참 농업직 공무원 준비하면서 준비했었는데 그때는 자격 취득이 어렵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21년부터 필답형으로 바뀌면서 합격률이 현저히 낮아졌다고 합니다.
바뀐 실기 시험의 출제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실기 과목의 주요 항목
1. 토양
: 토양구분하기, 유기재배지 토양분석하기, 토양유기물 유지하기, 유기물 시용하기, 유기재배지 토양 관리하기
2. 퇴비
: 퇴비의 종류 및 특성 이해하기, 퇴비 제조·분석 및 시용하기
3. 유기적 재배 관리방법
: 유기농업자재의 공시 활용하기, 제초작업하기, 병해충 방제하기
4. 유기작물의 재배
: 재배하기, 품질유지하기, 선별, 포장하기
5. 유기농업생산
: 유기경종 이해하기, 유기축산 이해하기, 유기가공식품 이해하기, 유기작부체계를 계획하기
확실히 이렇게 필답형으로 준비를 하게 된다면 유리한 분들도 있겠지만 저 같은 사람에게는 실기시험이 더 유리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모든 시험이 그렇듯 필기시험을 제대로 준비했다면 실기 시험도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기농업 기능사 필기시험의 검정 수수료는 14,500원이고 실기 시험의 검정수수료는 17,200원입니다.
유기농업기능사 시험일정
2024년 유기농업기능사 시험은 4회 시행 예정입니다. 중간 5월에 있는 과정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고등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일정이기 때문에 일반 필기시험 면제자는 이 회차 때는 응시가 불가하니 다른 회차를 잘 보고 접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제 자격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