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술자격증

산업안전기사

by 미노스23 2023. 12. 27.

산업안전기사(Engineer Industrial Safety)\

산업안전기사는 산업현장에서 안전을 빼놓고는 생산성 향상이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대두되면서 근로자를 보호하고 근로자들이 안심하고 생산성 향상에 주력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기술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된 자격증입니다.

 수행 직무는 제조 및 서비스업 등 각종 산업현장에 배치되어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계획·수립하고, 관련 사항을 수행 하며 작업환경을 점검 및 개선, 유해 및 위험방지, 사고사례 분석 및 개선, 근로자의 안전교육 및 훈련에 관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산업안전기사 시험의 관련부처는 고용노동부이지만 시행기관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므로 국가기술자격증으로 인정을 받고 기사등급의 자격을 얻게 됩니다. 

기사자격증의 응시 자격은 대부분 4년제 대학교에서 전공을 하거나 관련 학과를 졸업해야 응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학점은행제를 통해서 준비를 많이 하시지만 약간의 show me the money 를 쓰자면 정보처리 기사 자격증을 취득한다면 산업안전기사에 응시가 가능합니다. 즉,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취득한다면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다른 종목 산업기사 등급이상 취득자라는 조건을 만족하기때문에 학점은행제에 따로 시간을 쓰지 않아도 자격증도 1개 더 추가로 획득하며 응시자격을 갖출수 있습니다.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필기시험은 총 6과목으로 120문제가 출제되고 3시간동안 시험을 치루게 됩니다. 일반적인 기사 시험은 100문제이지만 1과목·20문제가 더 많은 자격증이라 산업암기기사라는 별명이 있다고 합니다. 

과목수도 문제수도 많기 때문에 모든걸 다 맞고 가겠다는 생각보다는 전략적으로 쉬운 부분에서 많이 맞추고 어려운부분에서는 과락만 넘기자는 식으로 공부해야할것 같습니다.

필기시험은 문제집을 사서 공부해도 무관하지만 CBT(comcbt.com)사이트의 도움을 받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저도 이곳에서 복원문제를 다운받아 풀고 시험에 응시해서 필기책은 사본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실기는 다른 영역이라 책을 구입해서 꼼꼼하게 공부를 해야합니다.

우선 산업안전기사 필기시험의 출제기준의 주요항목을 살펴보겠습니다.

1과목 -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보건교육(20문제)

 : 산업재해예방 계획수립, 안전보호구 관리, 산업안전심리, 인간의 행동과학, 안전보건교육이 내용 및 방법,

   산업안전관계법규

2과목 - 인간공학 및 위험성 평가·관리(20문제)

 : 안전과 인간공학, 위험성 파악 ·결정, 위험성 감소 대책 수립 ·실행,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유해요인 관리,

   작업환경 관리

3과목 - 기계 ·기구 및 설비 안전 관리(20문제)

 : 기계공정의 안전, 기계분야 산업재해 조사 및 관리, 기계설비 위험요인분석, 기계안전시설 관리, 설비진단 및 검사

4과목 - 전기설비 안전관리(20문제)

 : 전기안전관리 업무수행, 감전재해 및 방지대책, 정전기 장 ·재해 관리, 전기 방폭 관리, 전기설비 위험요인 관리

5과목 - 화학설비 안전관리(20문제)

 : 화재 ·폭발 검토, 화학물질 안전관리 실행, 화공안전 비상조치 계획 ·대응, 화공 언전운전 ·점검

6과목 - 건설공사 안전관리(20문제)

 : 건설공사 특성분석, 건설공사 위험성,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관리, 건설현장 안전시설 관리,

   비계 ·거푸집 가시설 위험방지, 공사 및 작업 종류별 안전

이렇게 6과목중에서 120문제가 출제 되는데요 과목도 많지만 과목당 항목들이 많아서 내용이 방대해 보입니다. 이걸 전부다 공부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될것 같습니다.

산업안전기사 실기시험

산업안전기사 실기시험의 수행준거를 보니 여러 분야의 사업장에서 일어날수 있는 안전에 관련된 내용들이다 보니 어떤 산업에서 출제될지를 예측할 수 없어 실기시험또한 시험범위가 방대해 보입니다.

 시험도 2번에 나눠서 치워지게 되는데요 필답형 1시간 30분, 작업형 1시간 정도 이렇게 2번 시험이 시행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필답형을 먼저 본다면 다음주 정도에 작업형시험이 예정되어서 치뤄지게됩니다. 

필답형 시험은 14문제 55점만점이고, 작업형 시험은 9문제 45점 만점입니다. 이 두 시험의 점수를 합쳐서 60점 이상이면 합격할수 있습니다.

실기시험의 출제기준의 주요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산업안전과리 계획수립

2. 기계작업공정 특성 분석

3. 산업재해 대응

4. 사업장 안전점검

5. 기계안전시설 관리

6. 산업안전 보호 장비관리

7. 정전기 위험관리

8. 전기 방폭 관리

9. 전기작업안전관리

10. 화재·폭발 ·누출 사고 예방

11. 화학물질 안전관리 실행

12. 화공안전점검

13. 건설공사 특성 분석

14. 건설현장 안전시설 관리

15. 전설공사 위험성평가

주요 항목만 15가지 이고 하위 세부항목과 세세항목이 출제기준으로 나와있는데요. 정말 만만치 않은 자격증인것 같습니다. 하지만 정보처리기사보다 응시자가 더 많아 인기가 높은 자격증입니다. 

 

하지만 이제 2024년부터는 출제 기준이 변경되어 기존책 보다는 새로운 책으로 공부를 하는게 좋다는 여론이 있지만 정보처리 기사처럼 완전히 바뀔지는 한번 2024년 시험이 시행되어야 알 수 있을것 같습니다. 

 

'국가기술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지도사 2급  (2) 2024.01.04
소방설비기사(기계)  (1) 2023.12.29
2024년도 기능사 제1회 필기시험 주요 안내사항  (1) 2023.12.26
직업상담사2급  (1) 2023.12.26
사회조사분석사  (1) 202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