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 자격 중 기술 기능분야의 응시자격 조건체계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현행 국가기술자격증은 종목별로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이렇게 5종류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자격증들의 응시자격만 알아보고 각 자격증의 상세 내용은 앞으로 쓰여질 주제들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능사
기능사는 취득 자격제한 없이 누구나 응시 가능한 자격증으로 가장 기초가 되는 자격증입니다.
경력이나 학위등이 없어도 누구나 원하는 종목을 선택하여 취득이 가능합니다.
산업기사
기능사를 취득 후 자격증과 유사한 실무경력을 1년 보유하게 되면 산업기사를 취득할수가 있습니다.
또는 대학이나 전문대에서 관련학과를 졸업했다면 기능사 자격증 없이도 산업기사에 바로 응시할수 있습니다.
또 대학을 나오지 않더라도 2년 이상 실무경력을 증명할 수 있다면 이경우에도 산업기사에 응시가 가능합니다.
기능장
산업기사 또는 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기능대학(폴리텍대학)의 기능장 과정의 이수자 또는 이수예정자가 응시가능합니다.
대학을 가지 않더라도 산업기사이상 자격을 취득 후 실무경력이 5년이상이라면 기능장 시험에 응시할 수 있게 됩니다.
산업기사가 아닌 기능사 자격만 있다면 자격 취득 후 실무경력 7년이상이 경우에도 응시 가능하며, 만약 자격증 없이 실무경력 9년 이상이라면 바로 기능장에 도전 하실수 도 있습니다.
기사
산업기사 취득후 실무능력 1년이상이라면 기사자격증에 도전이 가능합니다.
이 외에도 기능사 취득 후 실무경력 3년, 자격증 없이 실무경력이 4년 이상이라면 기사자격증 취득이 가능합니다.
또 4년제 대학교의 관련학과를 졸업하거나 2년제 전문대 관련학과 졸업 후 실무경력 2년, 3년제 전문대 관력학과 졸업 후 실무경력이 1년 이상이라면 자격증에 도전하실 수 있습니다.
기술사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국가기술자격증인 기술사는 모든 기술 자격증의 종착지라는 수식어가 붙는 만큼 상당한 경력과 기술을 갖추어야 취득이 가능합니다.
기사 취득 후 실무경력이 4년 이상이거나 산업기사취득 후 실무경력 5년, 기능사 취득 후 실무경력 7년이 필요합니다.
만약 기사 자격증이 없으시다면 4년제 대학교의 관련학과를 졸업 후 실무경력이 6년이상이라면 이때도 기술사에 도전하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조건인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다른 종목 산업기사 등급이상 취득자라는 조건이 있습니다.
이 조건은 모든 자격증 즉, 산업기사, 기능장, 기사, 기술사 각 등급안에서 모두 적용이 됩니다.
이 조건이 다른 자격증을 문어발식으로 늘릴 수 있는 최고의 조건이 되기 때문에 정말 유용한 조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