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사' 이름의 역사
기능사라는 자격증은 1973년 12월 31일 국가기술자격법 제정 당시에는 기능장, 기능사 1·2급, 기능사보의 4개 등급으로 구성되어있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1999년 3월 28일 기능사보의 폐지 및 기술계-기능계 구분이 폐지 되면서 기능장이 기능사에서 떨어져나오고, 기능사 1급은 기사 2급과 다기능기술자라는 자격증과 통합되면서 산업기사로 변경, 기능사 2급이 현재 기능사라는 명칭으로 자리잡게 됐습니다.
기능사 시험 취득 방법
자신이 취득하려는 자격증을 선택 후 먼저 필기 시험을 합격한 후 실기 시험에 합격하면 기능사 자격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 필기시험 원서접수
기능사(정기) 시험은 과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년에 3~4회정도 시행되고 있습니다. 4회차는 시행되지 않는 과목도 있어 반드시 Q-net을 통해 해당과목의 시험 시행여부를 확인 하셔야합니다. 대략 원서 접수 후 한 달 정도 후 필기시험이 시행이 됩니다.
▶ 필기시험
필기 시험은 4지 선다형 객관식으로 과목별 점수에 상관없이 60문제중 36문제 이상만 맞으면 평균 60점 이상으로 필기에 합격할수 있습니다.
시험 방법은 예전에는 문제지를 받고 OMR카드에 체크하는 방식으로 진행이 됐지만, 2014년 하반기 부터 CBT로 전환하여 컴퓨터로 진행이 되고, 합격여부도 앉은 자리에서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실기시험 원서접수
필기시험을 합격했다면 합격한 날로부터 2년 이내에 실기시험에 합격하셔야합니다. 만약 2년이 지났다면 다시 필기시험 부터 합격하고 실기시험에 응시하셔야 하기 때문에 열심히 공부하셔서 꼭 기간 내에 합격하시길 응원합니다. 실기시험 역시 기능사 기준 1년에 3~4회 시행되고 있지만, 4회차에 시행여부 또한 Q-net에서 꼭 확인 해주세요.
▶ 실기시험
실기 시험은 작업형이나 혼합형(작업 & 필답)으로 나오게 되는데, 필기시험이 보기가 없는 주관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필기와 마찬가지로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이면 합격할 수 있습니다.
▶ 합격자발표 및 자격증 발급 신청
실기까지 최종 합격을 Q-net을 통해 합격하면 자격증을 발급 받으실수 있습니다. 인터넷 또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방문하여 발급이 가능합니다. 방문하여 발급하실 경우 가까운 한국산업인력공단 지사를 검색하셔서 방문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