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술자격증

정보처리기사

by 미노스23 2023. 12. 18.

정보처리기사( Engineer Information Processing)

 정보처리기사는 4년제 대학의 모든 학과가 응시가능한 시험으로 취업준비생이라면 대부분 제일 먼저 취득하려고 하는 자격증입니다. 하지만 2020년 부터 새롭게 변경된 출제 기준 때문에 합격률이 50%대에서 20%미만으로 낮아져 취업준비생들의 재정 상태를 더 비곤하게 만드는 자격증으로 바뀌었습니다.(저도 그 피해자중 한사람입니다..ㅠ)

 흔히 말하는 족보가 없고 프로그래밍 과목의 함정이 많이 있어 불합격의 쓴잔을 많이 맛보게 됐습니다. 거기에 떨어뜨리기 위한 문제가 2,3 문제만 나와도 합격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저도 내년에는 꼭 합격하기위해 다시 공부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은 4지 선다형 객관식으로 출제되면  CBT로 시험을 보게 됩니다. 시험문제는 문제은행에서 개인별로 상이하게 출제되므로 옆사람과 문제와 답안지가 다르게 출제됩니다. 부정행위가 통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필기 시험 검정 수수료는 19,400원으로 신용카드로 결제시 추가 수수료가 부과되니 참고 하시면 될것같습니다.

 필기시험 출제기준을 면 총 5과목으로 각각 20문제씩 총 100문제가 출제가 되며 출제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과목 - 소프트웨어 설계(20문제)

 : 요구사항 확인, 화면설계, 애플리케이션 설계, 인터페이스 설계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20문제)

 : 데이터 입출력 구현, 통합 구현, 제품소프트웨어 패키징, 애플리케이션 테스트관리, 인터페이스 구현

3과목 - 데이터베이스 구축(20문제)

  : SQL 응용, SQL 활용, 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 전환

4과목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20문제)

 : 서버프로그램 구현,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5과목 - 정보 시스템 구축관리(20문제)

 : 소프트웨어개발 방법론 활용,  IT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시스템 보안 구축

 

 시험시간은 2시간 30분이고 합격기준은 100점 만점 중 평균 60점이상 득점하시면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평균 60점이라는 말이 있듯이 과목 과락이 있습니다. 4과목에서 100점씩 맞더라도 1과목에서 40점 미만일 경우에는 평균 87점이지만 1과목 과락으로 불합격이 됩니다. 최종 실기를 취득하기 위해서 공부하셨다면 과락이 나오기 어려운 시험이지만 혹시나 과락으로 인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꼭 최선을 다해 준비해주시길 바랍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시험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은 필답형으로 20문제 정도 출제가 됩니다. 필답형은 보기가 없는 주관식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필기시험을 공부할 때 확실히 준비해 두면 실기시험을 준비할 때 조금 수월할 수있습니다. 

시험시간은 2시간 30분으로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이면 합격하실 수있고 과락이 없고 20문제중 대략 12문제 이상이면 합격 하실 수있습니다. 대략이라고 작성 한 이유는 부분 점수도 있고 문제마다 점수가 다를 수있기 때문에 모르는 문제라도 포기하지 마시고 아는 부분은 최대한 작성 하시면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거에요.

 실기 시험 검정 수수료는 22,600원이고 카드 결제시에는 추가 수수료가 부과되는점 참고해주세요.

 대부분 문제는 단답형 문제이고,  SQL작성, 프로그래밍 언어관련된 문제가 주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문제를 모두 맞추면 베스트 이지만 최대한 많이 맞추는게 실기 시험 합격으로 가는 길이 될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의 수행 준거라 하여 멋있게 써있지만 매번 불합격 하는 저에게는 저를 떨어뜨리기 위한 핑계거리로 만 보입니다. 

실기시험 주용항목에는 총 12항목이 있습니다.

1. 요구사항 확인 - 현행 시스템 분석하기, 요구사항 확인하기, 분석모델 확인하기

2. 데이터 입출력 구현 - 논리데이터저장소 확인하기, 물리 데이터저장소 설계하기, 데이터 조작 프로시저 작성하기,

                                      데이터 조작 프로시저 최적화하기

3. 통합구현 - 연계 데이터 구성하기, 연계 매카니즘 구성하기, 내외부 연계 모듈 구현하기

4. 서버프로그램 구현 - 개발환경 구축하기, 공통모듈 구현하기, 서버 프로그램 구현하기, 배치 프로그램 구현하기

5. 인터페이스 구현 - 인터페이스 설계서 확인하기, 인터페이서 기능 구현하기,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하기

6. 화면 설계 -  UI 요구사항 확인하기, UI설계하기, 

7.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케이스 설계하기, 애플리케이션 통합 테스트하기,

                                                 애플리에키션 성능 개선하기

8. SQL응용 - 절차형 SQL작성하기, 응용SQL작성하기

9.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 SW개발 보안 설계하기, SW개발 보안 구현하기

10.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기본문법 활용하기, 언어특성 활용하기, 라이브러리 활용하기

11.응용SW기초 기술 활용 - 운영체제 기초 활용하기, 데이터베이스 기초 활용하기, 네트워크 기초활용하기,

                                             기본 개발환경 구축

12. 제품소프트웨어 패키징 - 제품소프트웨어 패키징 하기, 제품소프트웨어 매뉴얼 작성하기,

                                              제품소프트웨어 버전관리하기

 

시험을 준비하면서 한번도 찾아 보지 않고 책만 가끔씩 보며 시험준비를 했는데, 티스토리에 글을 올리면서 찾아보니 그래도 읽어볼만 하고 이런 준거로 책이 만들어 졌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 나름 실기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는것 같습니다.

 

2024년 정보처리기사 시험일정

 

원서접수 시간은 첫날 10:00부터 시작하여 마지막날 18:00시 까지 입니다.  1회 시험은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 신년에 공부하기 위해 준비하는 사람들 등.. 시험에 응시하려는 사람들이 많아 접수가 치열합니다.  시험을 보고싶어도 못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원서접수 날짜와 시간을 꼭 확인 하셔서 늦지않게 접수 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회사 출근 후 넋놓고 있다가 대학때 수강신청을 위한 광클이 떠오를 정도로 치열하게 접수했던거 같습니다. 서버가 마비되기도 하고, 원하는 장소가 없기도 하고...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주변 중,고등학교 이름과 위치 정도를 확인하시고 접수 시작하시면 바로 바로 진행이 가능 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자리가 없어서 접수를 못하셨다면 근처 한국산업인력공단에 전화로 문의하시면 빈자리 접수추가 장소 접수가 열리는 날짜와 시간을 알려주실거에요. 그때라도 꼭 접수 하셔서 원하시는 일정에 맞춰 시험에 응시하셔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꼭 취득하시길 바랍니다. 

 

'국가기술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조사분석사  (1) 2023.12.20
유기농업 기능사  (0) 2023.12.19
정보처리기능사  (1) 2023.12.15
기능사 시험이란?  (0) 2023.12.13
국가기술 자격제도의 응시자격 조건체계  (0) 2023.12.12